top of page
About
portrait_01.jpg

화가 김태는 1931년 함경남도 홍원 출생으로 평양미술대학을 다니다가 6.25전쟁 무렵 월남하였다. 1955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그리고 1967년 동대학원을 졸업하였다. 국전 3, 4, 5, 7회에 입선하였고 10여 차례의 개인전과 앙가주망전, 한국수채화 작가회전, 예술의전당 개관기념전 등 수많은 단체전에 출품하였다. 1967년 이후 1996년 퇴직할 때까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교수로 재직하며 많은 후학을 양성하였다.

 

그는 현대 미술의 흐름 속에서 시대적 유행을 따르지 않고 구상적인 표현을 통해 뚜렷한 자기만의 작품 세계를 이루어냈다. 풍경, 인물, 정물 등 다양한 대상을 따뜻한 시각으로 관찰하였고 탄탄한 구성과 아름다운 색감으로 화폭 위에 구현하였다.

autograph.png

김태

1931 - 2021

 

학력

1951-1955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1967     서울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졸업

 

주요 개인전

1969-1991     다수의 개인전 (서울신문회관 · 신세계미술관 · 양지화랑 · 문화화랑 · 광주 현대화랑 · 대구 이목화랑 · 뉴욕 한국갤러리 · 예화랑 · 선화랑 등)

 

주요 단체전

1954-1958     제3회 · 4회 · 5회 · 7회 국전, 입선

1961-1971     제1-10회 앙가주망전, 회원 출품

1973     한국현역화가 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1974     제10회 아세아현대미술전 초대출품,동경 상야림미술관

1974-1990     일본· 동남아 · 유럽· 미국 · 중공(中共)의 미술계시찰

1977     한국현대서양화대전 초대출품, 국립현대미술관

1978-1984     한국카톨릭미술협회전 회원출품

1979     한국미술 오늘의 방법전 초대 출품, 문예진흥원

1980-1990     신新미술회 회원전 출품

1981     한국의 자연전 초대출품, 국립현대미술관

1983-1990     '83, '84, '86, '88, '90 현대미술초대전 출품, 국립현대미술관

1984-1990     한국수채화작가회전 회원출품

1986-1990     '86, '87, '88, '89, '90 서울미술대전 초대출품, 서울시립미술관

1990     백두산으로 가는 길 전, 한국일보기획, 초대출품, 롯데미술관

1990     예술의전당 개관기념전 초대출품

 

주요 경력

1967-1996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 서양화과 교수

1996-2021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studio02.jpeg

작가연보

 

1. 인적사항

성명 : 김 태 (Kim Tai, 金 泰)

출생 및 사망 : 1931년 3월 13일 ~ 2021년 6월 30일

출생지 : 함경남도 홍원군 삼호면

 

2. 학력

1938 삼호보통학교 입학

1944 함남중학교 입학

1948 함흥 고급중학교(고등보통학교)졸업

1950 평양국립미술학교 회화과 2년 수료 후 전쟁으로 월남

1951~55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수료, 졸업

1955~57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원 회화과 수료

1967 서울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졸업

 

3. 경력 및 상훈

1957~58 서울대학교 사범대학교 부설고등학교 교사

1954 제3회 국전 <북한산 秋景> 입선(경복궁 미술관)

1955 제4회 국전 <건어> 입선(경복궁 미술관)

1956 제5회 국전<어선의 구성> 입선(경복궁 미술관)

1958 제7회 국전 <창변 窓邊에서> 입선(경복궁 미술관)

1963 제1회 한국미술협회 회원전(중앙공보관) 미협이사장상 수상  <과정-63> 출품

1967~96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교수로 재직, 정년퇴임

1984 제3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

 

4. 전시이력

단체전

1961 한국미술가협회전(휘문고 가설미술관) <방파제> 외 3점 출품

제 1회 앙가주망 양화회전(국립도서관화랑) <콤포지숀> 외 3점 출품

창립동인- 김태, 안재후, 최경한, 황용엽, 필주광, 박근자

1962 제2회 앙가주망 양화회전 (중앙공보관) <잔설> 외 4점 출품

1963 제3회 앙가주망 양화회전(신문회관 화랑)

1966 제4회 앙가주망 양화회전 (중앙공보관) <추경> 외 2점 출품

1967 민족기록화전 <반공포로석방도> 500호, (경복궁미술관) 초대출품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위촉에 의해 민족기록화 및 벽화 10여 점 제작

1968 제5회 앙가주망 양화회전 (신문회관) <포구> 외 2점 출품

1968 문공부초대 현역작가전(경복궁미술관) <꽃> 외 2점 초대출품

1968 제6회 앙가주망 양화회전 (신세계화랑) <거리> 이 1점 출품

1970 제7회 앙가주망 양화회전 (신문회관화랑) <청관풍경>외 2점 출품

1970 서울미대 미술관 개관 기념전 (시울 미대 가설미술관) <풍경A> 외 3점 출품

1971 서울신문 초대 한국주제미술9인전 <모방공업> 초대출품 (신문회관화랑)

제 9회 앙가주망 양화회전 <진수식> 외

1973 한국 현역화가 100인전(국립현대미술관)

1973 문공부, 민족기록화전(경제도전- 자동차공업)

1974 제 10회 아시아 현대미술전(일본 도쿄, 오에노모리 미술관) <影島의 아침> 출품

1975 김형구(金亨球) 김태(金泰) 이인전 (신세계미술관) <서울역>외 20점

1975 한 일 미술교류전(현대화랑)

1975 문공부 민족기록화전:구국위업편 (국립현대미술관)

1976 서양화 100인초대전(문화화랑)

1976 변화랑 개관기념전(변화랑)

1976 문공부 민족기록화 : 구국위업편(국립현대미술관)

1978 서양화 중견작가전(신세계미술관)  金源,吳承雨,金泰 三人展

1979 한국미술-오늘의 방법전(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세종미술초대전(세종대왕기념사업회관)

1980 제 1회 한국현대미술대전(문예진흥원미술회관)

1981 제 2회 한국현대미술대전(문예진흥원미술회관)

1982 오늘의 회화전- 진화랑 개관 10주년( 진화랑)

1983 '83 현대미술초대전(국립현대미술관)

1984 '84 현대미술초대전(국립현대미술관)

카톨릭미술전-천주교 200주년기념(문예진흥원 미술회관)

1985 '85 현대미술초대전(국립현대미술관)

1986 KBS 초대미전(문예진흥원인미술회관)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국립현대미술관)

1987 '87 현대미술초대전(국립현대미술관)

1988 '88 서울미술대전(서울시립미술관)

1989 '89 서울미술대전(서울시립미술관)

KBS TV 초대미술전 초대작품전(신세계미술관)

1990 “韓國의 山"展(잠실롯데미술관)

"백두산 가는 길”전 한국일보기획(롯데미술관)

1991 한국서양화 50년의 흐름전(갤러리포커스)

1992 '92 현대미술초대전(국립현대미술관)

1993 '93 회화제(서울시립미술관)

1994 서울신문신춘 서양화초대전(서울갤러리)

1995 '95 서울미술대전(서울시립미술관)

가고싶다, 보고싶다, 그곳에 展 - DMZ 특별전(選 畵廊 )

1996 대한민국 원로작가 초대전(서울시립미술관)

 

개인전

1969 제1회 김태 유화개인전(신문회관화랑)

1972 제2회 김태 유화개인전(신세계미술관)

1974 김태 파스텔 초대전(양지화랑)

1977 김태 작품전(문화화랑)

김태 개인전(대구 二木畵廊)

1979 김태 유화전(광주 현대화랑)

1980 김태 유화전(대구 二木畵廊)

1982 김태 유화작품전(신세계미술관)

1983 김태 초대전(대구 二木畵廊)

김태 유화 소묘전(뉴욕, 한국갤러리)

1985 김태 작품전(藝畵廊)

1991 김태 작품전(選畵廊)

1996 김태 작품전 1952~1972(서울대 박물관 현대미술 전시실)

 

5. 저서 및 논문

1971 「우리나라 남해안을 소재로 한 풍경화 연구」

1973 「우리나라 동, 서해안을 소재로 한 풍경화 연구」

1975 「나의 설경」, 『경향신문』, 1975.1.19

1975 「나의 연하장」,『중앙일보』, 1975.12.24

1976 「진실을 추구하는 현대회화의 선구자」, 『조선일보』, 1976.1.1

1977 「화가가 본 유럽의 사경」, 『세대』, 1977.3

1978 「현대회화에 있어서 표현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조형』,1978, 2월호(유경채 공저)

1980 「누드모델과 나」,『화랑』, 1980.가을

1984 중학교 미술 1, 2, 3 (최기원, 문상렬 공저) 금성 교과서 주식회사

고등학교 미술 (최기원, 문상렬 공저) 금성 교과서 주식회사

1986 「정물화의 기본적 구조」, 『조형』, 1986

1989 중학교 미술 1, 2, 3(최기원, 문상렬 공저) 금성 교과서 주식회사

1990 고등학교 미술 (최기원, 문상렬 공저) 금성 교과서 주식회사

1994 중학교 미술 1, 2, 3(최기원, 문상렬 공저) 금성 교과서 주식회사

1995 고등학교 미술 (최기원, 문상렬 공저) 금성 교과서 주식회사

1996 「김태교수 고별강연」, 『조형』, 1996. 19호, 136~143쪽

2000 「중학교시절의 네 분 미술선생님」, 『盤龍(함홍고보 동창회지)』489~494쪽

studio03.jpg
bottom of page